본 논문 초록을 게제합니다.
----------------------------------------------------------------------------------------------------------------------
국내 한우 공동 통합운송을 통한 물류비용 절감과 탄소배출 저감 방안 - 한우농가 → 도축장 운송 경로 중심으로-
천동암/ 비즈니스인포메틱스 융합 전공
지도교수: 김윤기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한우 운송체계의 구조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기존 개별 운송(AS-IS) 방식에서 공동 통합운송(TO-BE) 방식으로의 전환이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환경적 효과를 입체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현재 국내 한우 운송은 대부분 농가별 개별 배차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개별 운송 방식은 낮은 차량 적재율과 중복 운송 경로 등으로 인해 운송 효율이 저하되고 물류비용과 탄소 배출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소규모 농가의 경우, 운송 효율성 저하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축산물품질평가원의 협조하에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의 전국 한우 운송에 대한 450,000건의 일일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TMS(운송관리시스템)를 활용하여 운송 지점 간의 위도·경도 좌표와 차량 적재량 등 다양한 현실적 제약 조건을 반영한 정교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이론적 물류 모델과 현장 중심의 실행적 물류 모델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고, 보다 현실성 있는 물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공동 통합운송(TO-BE) 방식 도입 시 차량 가동률 증가, 정차 효율 개선, 차량 공차 비율의 현저한 감소와 같은 다양한 물류 실행 지표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공동 운송 방식의 도입으로 인해 차량 운행 대수는 기존 대비 연간 약 48.8% 감소하였으며, 총운행 거리 역시 연간 기준 약 37.5%가량 감소하여 물류비 절감 효과가 뚜렷하였다. 또한 운행 시간이 기존 방식 대비 평균적으로 26.6% 단축되는 등 전반적인 운송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탄소 배출량 역시 현저히 줄어드는 친환경 효과를 거두었다.
특히 소규모 농가의 경우, 기존 개별 운송 시 두당 운송비용이 대형 농가 대비 최대 30%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동 통합운송 시스템 도입 시 이러한 비용 격차가 상당 부분 완화되어 농가의 수익성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우 운송 분야에서 공동 통합운송 모델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부족했던 현실적인 제약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여 더욱 실무적인 함의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운송 시스템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돼지, 닭 등 타 축산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대만 등 주변 국가와의 비교 연구를 통한 국제적인 운송 시스템 확장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동물 운송, 한우 운송, 공동 통합운송 시스템, 물류비 절감, 탄소배출 저감, TMS 시스템, 축산물 운송 최적화, 차량 적재율 개선, 공차 비율 감소, 물류 시뮬레이션, 지속 가능 물류, 소규모 농가 물류비 절감, 축산물 물류 혁신, 축산물 운송관리시스템, 친환경 축산물 운송
Study on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Carbon Emissions
through Consolidated Transportation of Domestic Korean Beef (Hanwoo)
Focused on Routes from Korean Cow Farms to Slaughterhouses
by Chun, Dongam/ The Graduat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Information Studies/under the supervision of Professor, Yoonki, Kim
Abstract
The present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structural problems inherent in South Korea's cattle transportation system, exploring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arising from a shift from the existing individual transportation method (AS-IS) to an integrated collective transportation method (TO-BE). Currently, domestic cattle transportation predominantly relies on individual dispatch methods for each farm, which results in significant inefficiencies due to low vehicle loading rates, redundant transportation routes, elevated logistics costs, and excessive carbon emissions. Small-scale farms, in particular, face disproportionately higher economic burdens stemming from reduced transportation efficiency.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collected 450,000 daily cattle transportation data records nationwide from January to December 2024,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Utilizing a Transport Management System (TMS), a detailed sim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that integrated various realistic constraints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ransportation points and vehicle loading capacities. This simulation approach aimed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oretical logistics models and practical, real-world logistics operations, resulting in more realistic logistics improvement strategie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substantial improvements across various logistics performance indicator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collective transportation (TO-BE) method, including increased vehicle utilization rates, enhanced stop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reduced empty-running rates. Specifically, the number of vehicles operated annually decreased by approximately 48.8%, while the total distance traveled declined by approximately 37.5%, clearly demonstrating significant logistics cost savings. Moreover, average transportation times were reduced by approximately 26.6% compared to the AS-IS scenario, considerably improving overall transportation efficiency and contributing notably to reduced carbon emissions.
For small-scale farms, transportation costs per animal under the individual transport method were up to 30% higher compared to larger-scale farm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collective transportation system substantially mitigated this cost disparity, thereby positively impacting the profitability of these smaller farms.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integrated collective transportation in cattle logistics, incorporating realistic constraints that previous research often overlooked, thus providing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To overcome existing research limitations and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to expand analyses to other livestock types such as pigs and poultry. Additionally, comparative international studies involving neighboring countries like Japan and Taiwan are recommended to develop more comprehensive and universally applicable transportation system expansion models.
Keywords: Animal Transportation, Cattle Transportation, Integrated Collective Transportation System, Logistics Cost Reduction, Carbon Emission Reduction, Transport Management System (TMS), Livestock Transportation Optimization, Improvement of Vehicle Loading Rates, Reduction of Empty-running Rates, Logistics Simulation, Sustainable Logistics, Logistics Cost Reduction for Small-scale Farms, Livestock Logistics Innovation, Livestock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Eco-friendly Livestock Transportation